학습 내용

  1. 자바 개발 환경(JDK, IDE) 설치 및 설정
  2. Java 프로그램 구조와 실행 과정 이해
  3. I/O
  4. 기본 문법(자료형, 변수, 연산자, 조건문, 반복문 등) 숙지

학습 과정

먼저 Java 개발 환경을 구축해준다. https://velog.io/@kij723/Java-개발-환경-설정-Visual-Studio-Code 위 링크는 Java 환경 구축을 위해 참고한 링크로, 향후 VS Code에서의 Java 환경 구축이 필요한 사람의 경우 위 링크의 글을 매우 추천한다 (다른 링크를 참고했다가 JAVA 세팅이 제대로 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..).

image.png

JDK는 다음과 같이 설치했으며, IDE는 기존에 쓰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도록 한다.

<aside> 💡

JDK란?

Java Development Kit 의 약자로, JRE(자바 실행 환경)과 개발 도구가 포함된 키트를 뜻한다. 즉, 자바 개발 환경이다.

</aside>

환경 구축이 잘 되었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

image.png

⚠️ 이때 Java 쓴 코드로 백준 문제 제출 시 주의할 점이 있다.

위와 같이 새로운 파일을 만들면 맨 위 ‘public class’ 다음에 ‘App’ 이라는 단어가 보일 것이다.(해당 코드에 대한 설명은 후에 서술하겠다.) 이 뜻은 class 명이 App이라는 뜻이다. 만약 저 코드 그대로 제출한다면 백준 내에서 컴파일 에러가 뜬다.

왜 그럴까? 나도 모른다! 추측 상 백준이 Java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, 입력한 코드 파일의 클래스명을 ‘Main’으로 고정하여 실행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. 그러기에 백준의 실행 환경 상, ‘Main’ 클래스가 존재해야만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(물론 추측이다).

지금부터 기본 구조를 살펴보겠다.

public class App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Exception 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Hello, World!");
    }
}

public class App